프랑스 모음곡 (바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모음곡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작곡한 6개의 모음곡으로, 바흐 사후에 '프랑스 모음곡'으로 명명되었다. 각 모음곡은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지그를 기본으로 하며, 미뉴에트, 가보트 등 다양한 춤곡이 추가되기도 한다. 프랑스 양식보다는 이탈리아 양식을 따르며, 자필 악보가 존재하지 않아 다양한 필사본을 통해 연구된다. 제3번 B단조의 미뉴에트는 게임보이 테트리스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프랑스 모음곡'이라는 명칭은 바흐 사후에 붙여졌다. 1762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마르푸르크가 처음으로 이 명칭을 언급했다.[1]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은 자신의 저서에서 이 모음곡이 프랑스 양식으로 쓰였기 때문에 '프랑스 모음곡'이라 불린다고 주장했지만,[1] 이는 사실과 다르다. 실제로는 이탈리아 양식에 가깝다.[2]
프랑스 모음곡은 바흐가 쾨텐에서 활동하던 1722년에서 1725년 사이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8] 1722년에 쓰인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에는 제1번부터 제5번까지의 초기 형태가 포함되어 있다. 바흐는 첫 번째 부인 마리아 바르바라 바흐를 잃고 안나 막달레나 빌케와 재혼했지만, 창작 의욕은 쇠퇴하지 않았고, 이 시기에 프랑스 모음곡을 비롯한 많은 건반 악기 작품을 남겼다. 〈영국 모음곡〉이나 〈파르티타〉에 비해 비교적 연주하기 쉬운 점이 특징이다.
이 모음곡들은 '프랑스'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자필 악보는 남아있지 않다.[1] 여러 필사본을 통해 전해지는데, 필사본에 따라 모음곡과 악장의 순서, 장식음 등이 다르게 나타나 정확한 원전을 확정하기 어렵다.[10]
프랑스 모음곡은 총 6개의 모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의 3개는 단조, 뒤의 3개는 장조로 작곡되었다. 각 모음곡은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지그를 기본 악장으로 포함하며, 미뉴에트, 가보트, 부레 등 다른 춤곡이 추가되기도 한다. 제2번, 제3번, 제4번에는 다른 버전의 악보(이고(異稿))가 존재한다.
2. 명칭과 양식
각 모음곡의 두 번째 악장은 바흐 목록에 따라 쿠랑트로 명명되었지만, 첫 번째와 세 번째 모음곡의 쿠랑트는 프랑스 양식이고, 나머지 네 곡의 쿠랑트는 이탈리아 양식이다. 바흐는 프랑스 양식과는 다른 춤곡(예: 여섯 번째 모음곡의 폴로네즈)을 사용하기도 했다.
몇몇 필사본에는 "Suites Pour Le Clavecin"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데, 이것이 '프랑스 모음곡'이라는 명칭의 유래로 추정된다. 카를 필립 엠마누엘 바흐에 의한 1754년 바흐의 부고 기사에는 미출판 건반 악곡 목록의 12번에 "같은, 다소 짧은 6개(의 모음곡)"(11번의 영국 모음곡에 이어서)라고 기재되어 있어, 이 명칭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9]
3. 작곡 배경
프랑스 모음곡이라는 명칭은 후대에 붙여진 것이다. 1762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마르푸르크가 처음으로 언급했으며,[1] 바흐의 전기 작가인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은 "프랑스 풍으로 쓰였기 때문에 프랑스 모음곡이라고 부른다"[1]고 썼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 바흐의 다른 모음곡들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모음곡은 대체로 이탈리아 양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2]
4. 판본 및 장식음 문제
바흐의 제자였던 알트니콜, 베른하르트 크리스티안 카이저, 겔버 등의 필사본이 주요 자료로 사용된다.[10] 특히 카이저와 겔버의 필사본은 장식음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1725년경 바흐 작품의 연주 방식을 추정하는 단서가 된다.
신 바흐 전집(바렌라이터 원전판)은 알트니콜 필사본을 "버전 A", 후대 필사본을 "버전 B"로 구분하여, 결정고를 정하지 않았다.[10] 프랑스 모음곡의 원전이 존재한다고 해도, 현존하는 자료에는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장식음의 경우, 원본에 가까운 형태를 재현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연주자의 해석에 따라 다르게 연주될 수 있다.
5. 구성
5. 1. 제1번 라단조 (BWV 812)
바흐의 프랑스 모음곡 제1번 라단조(BWV 812)는 다음과 같은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I. 알르망드
II. 쿠랑트
III. 사라방드
IV. 미뉴에트 I
V. 미뉴에트 II
VI. 지그
5. 1. 1. 구성
프랑스 모음곡은 총 6개의 모음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반부 3곡은 단조, 후반부 3곡은 장조로 작곡되었다. 이 중 제2번, 제3번, 제4번에는 이고(異稿)가 존재한다. 각 모음곡은 다음의 악장들로 구성된다.
I. 알르망드
II. 쿠랑트
III. 사라방드
IV. 미뉴에트 I
V. 미뉴에트 II
VI. 지그
5. 2. 제2번 다단조 (BWV 813)
바흐의 프랑스 모음곡 제2번 다단조(BWV 813)는 다음과 같은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알르망드
2. 쿠랑트
3. 사라반드
4. 에어
5. 미뉴에트
6. 미뉴에트 – 트리오 (BWV 813a)
7. 지그
5. 2. 1. 구성
프랑스 모음곡은 총 6개의 모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의 3곡은 단조, 뒤의 3곡은 장조로 작곡되었다. 이 중 제2번, 제3번, 제4번에는 다른 버전의 악보(이고(異稿))가 존재한다.
각 모음곡은 다음 순서로 연주된다.
1. 알르망드 (Allemande)
2. 쿠랑트 (Courante)
3. 사라반드 (Sarabande)
4. 에어 (Air)
5. 미뉴에트 I (Menuet I)
6. 미뉴에트 II (Menuet II)
7. 지그 (Gigue)
5. 3. 제3번 나단조 (BWV 814)
바흐 프랑스 모음곡 3번은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가보트, 미뉴에트, 트리오, 지그의 7개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악장의 연주 음원은 다음과 같다.
5. 3. 1. 구성
프랑스 모음곡은 총 6개의 모음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반부 3곡은 단조, 후반부 3곡은 장조로 작곡되었다. 이 중 제2번, 제3번, 제4번에는 다른 버전의 악보(이고(異稿))가 존재한다.
각 모음곡은 다음과 같은 춤곡들로 구성된다.
1. 알르망드 (Allemande)
2. 쿠랑트 (Courante)
3. 사라방드 (Sarabande)
4. 앙글레즈 (Anglaise)
5. 미뉴에트 I (Menuet I)
6. 미뉴에트 II 트리오 (Menuet II - Trio)
7. 지그 (Gigue)
5. 3. 2. 특징
미뉴에트 II (트리오)는 닌텐도 게임보이판 테트리스의 BGM으로 사용되었다.[1]
5. 4. 제4번 내림마장조 (BWV 815)
프랑스 모음곡 4번 내림마장조(BWV 815)는 다음 악장들로 구성되어 있다.[1]
# 알르망드(Allemande)
# 쿠랑트(Courante)
# 사라반드(Sarabande)
# 가보트(Gavotte)
# 에어(Air)
# 미뉴에트(Menuett)
#* 초고에는 없고 나중에 추가되었으며, 에어 앞에 놓인 필사본도 있다.
# 지그(Gigue)
BWV 815a로 출판된 대체 버전에는 전주곡, 두 번째 가보트, 미뉴에트가 추가되었다.[1]
5. 4. 1. 구성
프랑스 모음곡은 총 6개의 모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반부 3곡은 단조, 후반부 3곡은 장조로 작곡되었다. 이 중 제2번, 제3번, 제4번에는 다른 버전의 악보(이고(異稿))가 존재한다.
각 모음곡은 다음과 같은 악장들로 구성된다.[1]
# 알르망드(Allemande)
# 쿠랑트(Courante)
# 사라반드(Sarabande)
# 가보트(Gavotte)
# 에어(Air)
# 미뉴에트(Menuett)
# 지그(Gigue)
4번 모음곡은 BWV 815a로 출판된 대체 버전도 존재하며, 전주곡, 두 번째 가보트, 미뉴에트의 세 악장이 추가되었다.[1]
5. 5. 제5번 사장조 (BWV 816)
이 모음곡은 바흐가 1722년에 그의 두 번째 부인을 위해 쓰기 시작했지만, 1723년에 완성되었다. 전곡 중 가장 유명하며, 특히 "가보트"는 연주회에서 자주 연주된다.[6] 지그는 푸가풍이며, 이도형식이다. 성부는 하강 순서(소프라노-알토-베이스)로 시작되며, 곡의 후반부에서는 성부가 반대 순서로 시작될 뿐만 아니라 제1 주제의 반전도 나타난다.[6]
5. 5. 1. 구성
프랑스 모음곡은 총 6개의 모음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반부 3곡은 단조, 후반부 3곡은 장조로 쓰여졌다. 이 중 제2번, 제3번, 제4번에는 이고(異稿)가 존재한다.[6]
각 모음곡은 다음과 같은 춤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1. 알르망드
2. 쿠랑트
3. 사라방드
4. 가보트
5. 부레
6. 루르
7. 지그
이 모음곡의 처음 몇 마디는 바흐의 두 번째 부인을 위해 1722년에 쓰였지만, 1723년에 완성되었다. 지그는 종종 그렇듯이 푸가풍이며, 이도형식이다. 성부는 하강 순서(소프라노-알토-베이스)로 시작되며, 곡의 후반부에서는 성부가 반대 순서로 시작될 뿐만 아니라 제1 주제의 반전도 나타난다.[6] 전곡 중 가장 유명하며, 이 중에서도 "가보트"는 연주회에서도 자주 연주된다. 제5번 중 몇 곡은 1722년에 작곡되었지만, 완성된 것은 1723년이 되어서이다.
5. 5. 2. 특징
이 모음곡은 총 6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반부 3곡은 단조, 후반부 3곡은 장조로 작곡되었다. 이 중 제2번, 제3번, 제4번에는 다른 버전의 악보(이고(異稿))가 존재한다.[6] 전곡 중에서도 특히 '가보트'는 연주회에서 자주 연주되는 곡이다. 제5번의 몇몇 곡은 1722년에 작곡되었지만, 1723년에 완성되었다. 지그는 푸가풍이며, 이도형식이다. 성부는 하강 순서(소프라노-알토-베이스)로 시작되며, 곡의 후반부에서는 성부가 반대 순서로 시작될 뿐만 아니라 제1 주제의 반전도 나타난다.[6]
5. 6. 제6번 마장조 (BWV 817)
이 곡은 프랑스 모음곡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밝은 마장조(BWV 817) 곡으로, 폴로네즈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4곡의 갈랑트리(가보트, 폴로네즈, 부레, 미뉴에트)가 포함된 것은 바흐의 고전 모음곡으로는 이례적이지만, 프랑스 오르드르에서는 일반적이다.
제6번 마장조 BWV 817의 악장 구성은 다음과 같다.
5. 6. 1. 구성
프랑스 모음곡은 총 6개의 모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의 3곡은 단조, 뒤의 3곡은 장조로 작곡되었다. 이 중 제2번, 제3번, 제4번에는 다른 버전의 악보(이고(異稿))가 존재한다.
이 곡집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밝은 곡은 마장조 BWV 817이다. 폴로네즈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4곡의 갈랑트리(가보트, 폴로네즈, 부레, 미뉴에트)가 포함된 것은 바흐의 고전 모음곡으로는 이례적이지만, 프랑스 오르드르에서는 일반적이다.
프랑스 모음곡의 일반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순서 악장 1 알르망드 (Allemande) 2 쿠랑트 (Courante) 3 사라반드 (Sarabande) 4 가보트 (Gavotte) 5 폴로네즈 (Polonaise) 6 부레 (Bourrée) 7 미뉴에트 (Menuet) 8 지그 (Gigue)
5. 6. 2. 특징
프랑스 모음곡은 총 6개의 모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의 3곡은 단조, 뒤의 3곡은 장조로 작곡되었다. 이 중 2번, 3번, 4번 모음곡에는 다른 버전의 악보(이고(異稿))가 존재한다.
6번 마장조(BWV 817)는 프랑스 모음곡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밝은 곡으로, 폴로네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4개의 갈랑트리(Galantries)가 포함된 것은 바흐의 고전 모음곡에서는 이례적이지만, 프랑스 오르드르에서는 일반적이다.
6번 모음곡의 악장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알르망드 (Allemande)
# 쿠랑트 (Courante)
# 사라반드 (Sarabande)
# 가보트 (Gavotte)
# 폴로네즈 (Polonaise)
# 부레 (Bourrée)
# 미뉴에트 (Menuet)
#* 초고에는 지그 뒤에 배치되었다.
# 지그 (Gigue)
6. 대중문화 속 프랑스 모음곡
닌텐도의 게임보이 버전 《테트리스》에서는 3가지 사운드트랙 옵션 중 하나로 《프랑스 모음곡》 3번 B단조 BWV 814의 미뉴에트가 제공되었다.[7]
참조
[1]
서적
The French Suites: Embellished version
Bärenreiter
[2]
간행물
notes to the recording of the French Suites
Ambroisie
[3]
논문
The French Influence in Bach's Instrumental Music
Early Music
1985
[4]
서적
Johann Sebastian Bach: French Suites
https://books.google[...]
Alfred Music
[5]
서적
The Keyboard Music of J.S. Bach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서적
Analyses of Musical Classics, Book 1
Longmans
[7]
서적
Fifty Key Video Games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8]
문서
ベーレンライター原典版。
[9]
문서
ヘンレ版、Preface。
[10]
문서
資料状況については主にデュルによるベーレンライター原典版のPrefaceに依拠す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